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직접 병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 비대면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우울증 비대면 상담 신청 방법, 장단점, 주의 사항 등을 보기 쉽게 요약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울증 비대면 상담이란 무엇일까요?
우울증 비대면 상담은 화상 통화, 음성 통화, 채팅 등을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방식입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담이 활성화되면서 우울증 치료에도 비대면 상담이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우울증 비대면 상담 신청 방법
정신건강복지센터
· 전국 각 지역에 위치
·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상담 제공
· 온라인 또는 전화로 예약 가능
온라인 상담 플랫폼
· 다양한 상담 기관 및 전문가 연결
· 24시간 상담 가능
· 간편한 예약 및 상담 진행
일부 병원 홈페이지
· 일부 병원에서 자체 비대면 상담 시스템 운영
· 병원 홈페이지에서 예약 및 상담 진행
구분 | 내용 |
정의 | 화상 통화, 음성 통화, 채팅 등을 통해 진행하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 |
신청 방법 | 1. 정신건강복지센터 (무료/저렴, 온라인/전화 예약) 2. 온라인 상담 플랫폼 (24시간 상담, 간편 예약) 3. 일부 병원 홈페이지 (병원 홈페이지 예약) |
장점 | 시간/장소 제약 없이 편리, 심리적 안정감, 비용 절감, 다양한 상담 방식 선택 가능 |
단점 | 상담 효과 감소, 비밀 유지 위험, 기술적 문제 |
신청 시 주의 사항 | 증상 심각도, 기술 활용 능력, 상담 기관/전문가 선택 |
적합한 경우 | 경미한 증상, 스트레스 관리, 시간/장소 제약 |
적합하지 않은 경우 | 심각한 증상, 복잡한 문제, 약물 치료 필요 |
추가 정보 | 건강보험 적용 가능, 정신건강정보포털 (https://www.mentalhealth.go.kr/) |
비대면 상담 시간은 보통 얼마나 되나요?
비대면 상담 시간은 일반적으로 50분입니다. 하지만 상담 기관, 상담 방식, 상담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상담 기관별 상담 시간
· 정신건강복지센터: 30~50분
· 온라인 상담 플랫폼: 30~60분
· 병원: 30~60분
2. 상담 방식별 상담 시간
· 화상 상담: 50분
· 전화 상담: 30~50분
· 채팅 상담: 30~40분
3. 상담사별 상담 시간
· 경력이 많은 상담사의 경우 상담 시간이 더 길 수 있습니다.
· 상담사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상담 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4. 비대면 상담 시간 결정 요인
· 상담 내용: 심리검사, 치료 계획 수립 등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상담 대상: 어린이, 청소년, 노인 등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상담사의 판단: 상담 진행 상황에 따라 상담 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5. 추가 정보
· 일부 상담 기관에서는 10분 단위로 추가 상담 시간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 상담 시간은 상담 전에 상담 기관 또는 상담사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대면상담시 나이제한이 있나요?
비대면 상담 시 일반적으로 만 14세 이상부터 이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상담 기관 및 상담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상담 기관별 나이 제한
· 정신건강복지센터: 만 14세 이상
· 온라인 상담 플랫폼: 플랫폼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만 14세 이상
· 병원: 병원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만 14세 이상
2. 상담 방식별 나이 제한
· 화상 상담: 만 14세 이상
· 전화 상담: 만 12세 이상 (보호자 동의 필요)
· 채팅 상담: 만 12세 이상 (보호자 동의 필요)
3. 나이 제한 이유
· 미성년자의 경우 인지 능력, 판단력, 표현 능력 등이 부족하여 비대면 상담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비대면 상담의 특성상 비밀 유지, 안전 문제 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4. 예외
· 만 12세 미만이라도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상담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 보호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상담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상담 진행하다가 대면 상담으로 전환이 가능한가요?
네, 비대면 상담 진행하다가 대면 상담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1. 상담사와 상의
비대면 상담 진행 중에 상담사와 상의하여 대면 상담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대면 상담 필요 시
다음과 같은 경우 대면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상담 효과가 부족한 경우: 비대면 상담으로는 충분한 상담 효과를 얻지 못할 경우, 대면 상담을 통해 더 효과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심리 검사 또는 치료 계획 수립 필요: 심리 검사 또는 치료 계획 수립에는 대면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상담 대상의 특성: 어린이, 청소년, 노인 등은 비대면 상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대면 상담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 상담 내용의 특성: 가족 문제, 학대 경험 등 복잡한 문제는 대면 상담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 상담사의 판단: 상담 진행 상황에 따라 상담사가 대면 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대면 상담 전환 방법
· 상담 기관에 방문: 상담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상담 신청을 하거나, 전화 또는 온라인으로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상담 플랫폼: 온라인 상담 플랫폼에서 대면 상담을 지원하는 상담 기관 또는 상담사를 검색하여 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 병원: 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하여 대면 상담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신과 비대면상담 장단점 및 비용 알아보기
↓ ↓ ↓ ↓ ↓ ↓ ↓ ↓ ↓ ↓
'건강과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기능 ADHD 특징, 합리화, 자폐증과의 차이, 진단 및 치료 (0) | 2024.03.26 |
---|---|
소아 우울증 증상, 원인, 치료 및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0) | 2024.03.25 |
번 아웃과 자기혐오 정신과 상담이 시급하다 (0) | 2024.03.23 |
대인기피증 극복은 방법의 차이 사회적 불안 제거 방법 (0) | 2024.03.22 |
신경정신과 상담 시 눈물은 원인을 찾는 지름길 (0) | 2024.03.21 |